'K-푸드, 메이저 사이트 시장 뚫는다'…'버짓밀' 확산이 기회로
경제 불확실성 속 '버짓밀' 트렌드 메이저 사이트…한식 밀키트·김밥·떡볶이 등 간편식 수요 증가 K-컬처 인기로 한국 음식 관심↑, 소스·주방가전까지 진출 가능성
지난 7월, 골드만삭스는 향후 1년 내 메이저 사이트 경제가 침체에 빠질 확률을 45%로 전망했다. 소비자들은 관세와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지출을 줄이며 가성비를 중시하고 있으며, 식품 소비에서도 이 같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미 노동통계국(U.S. Bureau of Labor Statistics)에 따르면 2025년 7월 기준 가정 내 식사 비용은 전년 대비 2.2%, 외식 비용은 3.9% 상승했다. 이에 소비자들은 외식보다 집에서 식사를 해결하며 비용을 절감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소비자 조사기관 퍼스트 인사이트(First Insight) 조사 결과, 메이저 사이트 소비자의 86%가 집에서 식사를 준비한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팬데믹 시기보다 2% 증가한 수치다.
◇ 버짓밀(Budget Meal) 메이저 사이트, SNS로 번지는 집밥 문화
경제적 부담이 커지면서 최소 예산으로 식사를 준비하는 '버짓밀(Budget Meal)' 트렌드가 메이저 사이트되고 있다. 틱톡(TikTok) 등 SNS에서는 제한된 예산으로 일주일치 식단을 구성하거나 합리적 장보기 방법을 소개하는 콘텐츠가 인기를 얻는다.
요리 인플루언서 A씨는 KOTRA 뉴욕 무역관과의 인터뷰메이저 사이트 “저렴한 한 끼 식사, 세일 상품 활용, 대용량 구매 후 소분 등 전략을 소개했을 때 조회수와 반응이 가장 높았다”고 전했다. 그는 “일주일 저녁 식사 60달러 해결, 50달러로 4인 가족 장보기, 30일 가족 식단 구성” 등의 콘텐츠가 인기를 끌고 있다고 밝혔다.
◇ 메이저 사이트 기업, 집밥 수요 확대에 맞춰 매출 성장
집밥 선호 확산은 식품 기업에게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스 및 향신료 전문기업 맥코믹(McCormick)은 팬데믹 이후 메이저 사이트들의 요리 능력과 가정 내 조리 수요가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캠벨(Campbell's) 역시 파스타 소스, 치킨 스프, 버섯 스프 등 제품군의 매출이 늘었다고 밝혔다. 제너럴 밀스(General Mills) 또한 쌀과 콩류 판매 증가를 보고했다.
냉동식품과 밀키트도 꾸준한 수요를 보인다. 유통사 관계자 B씨는 “냉동식품은 장기 보관이 가능해 세일 기간에 대량 구매하는 소비자가 많다”며, “요리 실력이 부족해도 합리적인 가격으로 식사를 해결하려는 소비자 성향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메이저 사이트 냉동식품 시장은 2024년 835억 달러에서 2030년 1232억 달러까지 연평균 8.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K-컬처 인기로 한식 제품에 주목
한국 영화, K-드라마, K-팝 등 K-컬처 인기가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불닭볶음면에 이어 김밥, 떡볶이 등 가정식 메뉴에 대한 인기가 증가했다.
넷플릭스 1위 콘텐츠 ‘케이팝 데몬 헌터스’메이저 사이트 주인공들이 김밥과 떡볶이를 즐기는 장면이 방영되면서 젊은 세대 중심으로 관심이 확대됐다. 한 초등학생 학부모 C씨는 “자녀가 친구 생일 파티메이저 사이트 처음 김밥을 접한 후 집메이저 사이트도 만들어 먹는다”며, “최근 냉동 김밥이 출시돼 손쉽게 구매 가능하며, 아이들은 마요네즈, 어른들은 스리라차나 와사비 소스와 함께 즐긴다”고 말했다.
◇ 주방가전 진출 기회까지…현지화 전략 관건
집밥 선호 확산은 주방가전 메이저 사이트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 가전 유통사 관계자 C씨는 “한국처럼 김치 냉장고를 두고 식재료를 대량 보관하려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에어프라이어, 전기 압력솥, 블렌더 등 소형 주방가전 수요도 빠르게 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 식품 기업은 밀키트, 냉동식품, 한식 소스 등을 현지화된 포장과 맛으로 제공하면 경쟁력이 높다. 특히 메이저 사이트 소비자는 음식을 소스에 찍어 먹는 문화가 발달해 다양한 한식 소스 제품도 관심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경제 불확실성과 가성비 중시 트렌드, K-컬처 인기로 한식 제품은 메이저 사이트 시장 진출 호기를 맞고 있다. 한식 밀키트와 냉동식품은 현지 소비자가 쉽게 즐길 수 있도록 간편성과 건강함을 강조한 전략이 필요하다. 주방가전과 소스 제품까지 연계한 종합적 시장 진출 전략이 한국 기업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자료출처 :New York Times, New York Post, Newsweek, Ipsos,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irst Insight, McCormick, Campbell, Bureau of Labor Statistics, KOTRA 뉴욕무역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