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중소기업 메이저 놀이터 고도화·산업 지능화 이끈다
“생성형 AI 상담모델 ‘RISE-GPT’ 연내 시범 운영 목표… AI 학습메이저 놀이터 생태계 확산 주도”

서울테크노파크, ‘AI·메이저 놀이터 활용지원사업’ 본격 추진
서울테크노파크, ‘AI·메이저 놀이터 활용지원사업’ 본격 추진

서울 지역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산업 지능화를 지원하기 위한 인공지능(메이저 놀이터)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재)서울테크노파크(원장 윤종욱, 이하 ‘서울TP’)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하는 ‘2025년 민간 클라우드 기반 AI·메이저 놀이터 활용지원 사업’에 컨소시엄 참여기관으로 선정돼 본격적인 업무에 착수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국내 민간 클라우드 인프라와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반 기술을 활용해 지역 곳곳에 분산된 기업지원·장비활용 메이저 놀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정제하고, 산업별 수요에 맞춘 고부가가치 AI 학습메이저 놀이터를 구축·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울TP 관계자는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의 실질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해 메이저 놀이터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AI 기술을 기업 현장에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서울TP는 이번 사업에서 ㈜워트인텔리전스가 주관하는 컨소시엄에 참여기관으로 활동하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과 함께 ▲지역 기업 수요 기반 메이저 놀이터 수집 ▲산업별 수요조사 체계 구축 ▲수요 맞춤형 장비 메이저 놀이터 활용 ▲기술수요 기반 QA 시나리오 메이저 놀이터 기획 ▲정제지표 및 지능화 모델 적용 검토 등 실무 전반을 담당한다.

특히 서울TP는 현장 수요를 반영해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의 애로 해결과 상담을 지원할 수 있는 생성형 메이저 놀이터 기반 상담 챗봇(가칭 ‘RISE-GPT’) 개발에도 나선다.

윤종욱 서울TP 원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혁신적 도약을 지원하는 한편, 전국 유관기관과 협력해 공공 분야 AI 학습메이저 놀이터 생태계 확산을 주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서울TP가 참여하는 ‘AI·메이저 놀이터 활용지원 사업’은 올해 11월까지 지역별 기업지원·장비활용 데이터 구축과 AI 학습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어 올해 12월부터는 생성형 AI 상담모델(가칭 ‘RISE-GPT’)의 초기 버전을 시범 운영하며, 상담 품질 고도화와 전국 단위 공공·민간 메이저 놀이터 협력 모델 확산 전략을 본격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다.

관계자에 따르면, ‘RISE-GPT’는 축적된 메이저 놀이터와 생성형 AI 기술을 결합해 기업의 실무 애로를 해소하고, 맞춤형 정보 제공과 상담 기능을 강화해 스타트업·중소기업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AI 서비스로 발전시킬 방침이다.

서울TP는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고품질 AI 학습메이저 놀이터 구축 ▲생성형 AI 상담모델 개발 ▲메이저 놀이터 기반 산업지능화 ▲공공·민간 협력 모델 확산 등 지역 산업의 디지털 경쟁력 강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윤종욱 원장은 “AI·메이저 놀이터 사업은 지역의 중소기업과 스타트업들이 한 단계 성장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라며 “서울TP는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맞춤형 데이터 지원과 AI 기술 접목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스타트업엔(Startup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