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흔들리는 캠퍼스… 전공 실무 수업 수요 높아져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을 ‘지식과 배움의 공간’으로 바라보는 Z세대가 실제 수강신청 과정에서는 성적과 취업 연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의 본질과 취업 현실 사이의 간극이 통계로 확인된 셈이다.

상위권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가 취업 준비생 1,21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77%가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을 ‘배움의 장’이라고 답했다. 반면 ‘취업을 위한 스펙 쌓기’라고 응답한 비율은 23%에 그쳤다. 그러나 정작 수강신청에서는 이상과 달리 현실적인 기준이 앞섰다.

조사에 따르면 학생들은 수업 선택 시 ‘흥미로운 과목’(45%)보다 ‘성적이 잘 나오는 과목’(55%)을 선호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 과목 선택 기준을 묻는 질문에서는 △취업·진로 연계성(36%) △흥미·관심(34%) △시간표 편의성(12%) △학점 관리 용이성(10%) △강의 스타일(8%)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업 연계성’이 ‘흥미’를 제치고 1위에 오른 점은, 학생들이 취업 시장의 치열한 경쟁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Z세대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 ‘배움의 장’이라면서도 수강신청 때는 ‘스펙’ 우선
Z세대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 ‘배움의 장’이라면서도 수강신청 때는 ‘스펙’ 우선

응답자의 85%는 스펙을 위해 전공 외 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어학(46%) △취업·진로 관련 강의(38%) △실습·프로젝트(23%) △자격증 취득(21%)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생들이 단순한 전공 지식 습득에 그치지 않고, 취업과 직결될 수 있는 ‘실질적 무기’를 확보하려는 경향을 보여준다.

향후 확대되길 바라는 과목으로는 ‘전공 실무’(55%)가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재테크·법률 등 실생활 강의(19%) △순수 교양(18%) △전공 이론(17%) △취업 전략(11%) △신기술 융합(9%) △소프트 스킬(7%) △창업(7%)이 뒤를 이었다.

특히 전공 실무와 실습, 산학협력 경험을 원하는 목소리가 높게 나타난 것은 단순 학점 관리나 지식 습득을 넘어 실제 직무 역량 강화에 대한 수요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진학사 캐치 김정현 본부장은 “Z세대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생들은 배움의 의미를 중요시하면서도 취업을 앞두고 성적과 스펙을 병행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며 “실무 경험은 단순히 이력서에 적는 항목이 아니라, 직무 적합성과 커리어 방향성을 확인하는 기회로 인식되는 만큼,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과 기업이 관련 기회를 늘린다면 구직자와 기업 모두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 교육의 본질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보여준다. Z세대는 지적 탐구와 자기계발을 중시하지만, 동시에 치열한 채용 시장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성적과 스펙 관리에 몰두할 수밖에 없다.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이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강의가 여전히 이론 중심에 치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실무형·산학협력형 교육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된다. 기업 역시 ‘즉시 투입 가능한 인재’를 선호하는 상황에서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 교육이 시대적 요구에 충분히 부응하고 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번 조사는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이 단순히 ‘지식 전달의 공간’이 아니라, 사회와 산업의 변화에 발맞춘 실질적인 교육 플랫폼으로 진화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던진다. 학생들의 이상과 현실을 잇는 해법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배움의 가치는 계속해서 취업 스펙에 묻혀갈 가능성이 높다.

저작권자 © 스타트업엔(Startup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